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선의 출발지가 중국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국가들로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니혼게이자이신문은 8일 일본해사센터 조사를 인용해 지난 9월 중국(홍콩 포함)에서 미국으로 출발한 컨테이너 수송량이 93만 2천973개(20피트 컨테이너 기준으로 환산)로 전년 동월대비 13% 감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중국발 미국행 컨테이너 수가 100만개를 밑돈 것은 작년 6월 이후 1년 3개월 만입니다.10월에는 87만 6천786개로 더 줄어 전년 동월대비 21% 감소했는데, 이 역시 2020년 5월 이후 가장 적은 규모입니다.미국의 최대 쇼핑 시즌인 연말을 앞두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모습입니다. 일반적으로 9~10월에 가장 많은 수요가 몰리기 때문입니다.신문은 인플레이션 고공행진으로 미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미 소매업계 재고가 여전히 쌓여있는 데다, 미중 간 무역갈등 격화,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및 봉쇄조치에 따른 공급망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습니다.또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시절부터 이어져 온 고율 관세는 중국 측의 지속적인 요구에도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미 기업들은 양국 간 갈등이 심화함에 따라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본국 또는 다른 동남아 국가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베트남과 태국 등 아세안 국가들 역시 글로벌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투자·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실제로 아세안 지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 컨테이너 수는 지난 9월 40만 2천882개를 기록, 전년 동월대비 23.1% 급증했습니다. 10월에도 22% 늘어난 41만 5251개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미 수입에서 아세안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월 기준 26%로 확대했습니다.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감하면서 반사적으로 아세안 점유율이 올랐던 2020년 3월(30%) 이후 최고치입니다. 반면 같은 이유로 10월 중국의 점유율은 54%로 2020년 3월(39%)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일본 해사센터의 고토 연구원은 “미국에서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다시 눈에 띄게 늘고 있다”며 “고율 관세 제품을 구매할 필요성이 낮아진 미 기업들은 향후 미중 갈등 우려를 감안해 대중 의존도를 더 낮추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출처 - 임선우 외신캐스터(sunwooim90@naver.com)